top of page
Seongnam History Museum exhibition hall development theoryreport
‘교육’은 일방향의 정보의 전달이 아닌 가르침과 배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교육을 위한 공간인 학교는 상호간의 ‘관계’를 만드는 방식을 통해 ‘교육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한다.
따라서 새로운 학교는 교실 ‘안’만이 아닌 복도, 계단, 마당과 같은 교실 ‘밖’ 전체가 자유롭게 연결되며 아이들의 체험과 학습을 위한 장소가 되어야한다.
대지는 급경사 지형을 절토해 높은 옹벽을 세워 만든 2개의 레벨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접근은 공간의 편의를 위해 높이차를 가진 대지를 접근이 가능한 외부공간으로 적극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수평과 수직으로의 이동의 시간들을 아이들이 외부환경과 접하고 수직적인 관계가 형성되는 소통의 기회로 만드는 것이다.
Seongbuk-gu District Elderly Welfare Center Development Design
site location
land area
building area
tendon lung rate
gross area
volume ratio
Kyu mo
highest height
number of parking spaces
old jo
exterior finish
for also
Planning and basic design
Lot 2, 324, Dongseon-dong 4-ga, Seongbuk-gu
708.70m2
425.00m2
59.97%
2,955.00m2
330.86%
2 floors below ground, 7 floors above ground
29.40m
13 (including 1 disabled park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luminum windows + low-e double glazing,
Clay brick stucco, aluminum sheet
facilities for the elderly
MMKM associates
bottom of page